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드라마로 보는 행동 경제학

by 경제 돋보기 2022. 12. 15.
반응형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이 연일 높은 시청률과 함께 많은 인기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저도 재미있게 보고 있는 중입니다. 그런데 드라마 내용 중 재미있는 부분이 있어서 오늘 나눠보고자 합니다.

1. 경제학 용어 손실회피성이란 무엇인가요

지난 12/4 방송됐던 8회 차에 보면 극 중 진화영이 계열사 분리 문제로 오빠들 회사에 갚아야 될 채무금을 마련하기 위해 회사 공금으로 주식에 투자하는 모습이 나왔습니다. 문제의 주식은 30만 원까지 오르는 작전주였습니다. 진화영은 이 주식이 4만 원 팔아야 된다는 거짓 정보를 입수하고 30억 투자한 주식을 4만 원에 팔게 됩니다. 4만 원에 주식을 팔아 30억이 120억이 되었지만 주식을 계속 오르고 있는 상황. 진화영은 내가 안 팔았으면 벌었을 이익을 생각하며 화를 냅니다. 주식을 일찍 팔아서 자기가 얼마의 손해를 봤는지 아냐며, 주식투자를 통해 얻었던 이익보다 눈앞에서 놓친 더 큰 이익에 상실감을 갖게 되는데요. 이것은 손실 회피 성향으로 얻는 행복감보다 잃었을 때 상실감이 2배나 더 크게 느껴진다는 것입니다. 이미 90억의 이익을 얻었어도 주식을 팔지 않았으면 100억 200억 이상의 이익을 벌었을 거란 생각에 더 큰 이익을 놓쳤다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파인애플 전자에 100만 원 투자해 주식을 샀습니다. 주가가 내려가 주식은 100만 원에서 80만 원이 됐습니다. 이 경우 나는 20만 원의 손해를 보고 80만 원을 보전하는 방법과 추가로 주식을 구매해 평단가를 낮출 수도 있습니다. 당신은 확실한 20만 원의 손해를 보겠습니까? 아니면 추가로 주식을 구매해 손실을 줄여보겠습니까? 손실을 덜 보기 위해 물타기를 하는 것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위험을 안으려고 하는 손실 회피성의 모습입니다. 주가가 다시 회복하여 더 큰 이익을 보게 된다면 해피엔딩이겠지만 주가가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매도한다면 더 큰 손해를 볼 것입니다.

2. 사람은 손실 앞에서 용감해지고 이득 앞에서는 두려움이 많아질까

행동경제학의 유명한 실험 중에 하나가 있습니다. 신종 전염병으로 많은 사람이 죽을 수도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두 가지 전략을 마련했습니다. A 안은 200명이 100% 다 생존합니다. B 안은 600명이 다 생존할 확률이 1/3, 생존자가 없을 확률이 2/3입니다. 이 물음에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A 안을 선택했습니다. 불확실한 B보다 확실한 A 안을 선택함으로 위험회피 성향을 드러낸 것입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질문을 조금 바꿔서 물어봤습니다.  A 안을 선택하면 400명이 죽는다. B 안을 선택하면 전원 생존의 확률이 1/3, 생존자 0명의 확률이 2/3다. 이번에는 B 안을 대부분 선택했습니다. 400명이 100% 사라지는 것을 지켜보는 것보다 가능성은 낮아도 전원 생존의 모험을 택한 것입니다. 첫 질문에서 위험회피 성향을 드러내던 사람들이 갑자기 위험을 추구한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이처럼 같은 상황도 질문을 어떻게 내느냐에 따라 선택이 바뀌는 게 프레이밍 효과입니다. 심리학자 아모스 트버스키와 대니얼 카너먼이 실험한 이 문제에서 사람들은 일관된 선택으로 늘 합리적인 판단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처음 질문에 200명을 100% 살리는 것이 합리적인 판단이라면 두 번째 질문에서도 같은 A 안을 선택해야 합리적 선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실험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979년 위험을 선택하는 문제를 다룬 실험이 있습니다. 프로스펙트 이론으로 이 실험은 인간은 손실을 싫어한다는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내기를 해보겠습니다. 당신은 15만 원을 딸 확률이 50%, 10만 원을 잃을 확률이 50%인 내기를 하겠습니까? 이 질문에는 선택한 응답자가 없었습니다. 내기의 기대이익이 적어도 손실의 두배는 돼야 응답자들은 내기를 선택했습니다. 그렇다면 당신이 지면 10만 원을 잃을 수 있거나 아니면 5만 원 얻거나 20만 원을 잃을 확률이 각각 50%면 대부분 내기를 받아들였습니다. 확실한 손해를 보는 것 보다도 위험성이 있어도 손실을 피할 길이 있는 내기를 선택했습니다. 앞에서 위험을 피하려 했던 사람도 손실을 피할 길이 있다면 위험성을 떠안으려 했습니다. 사람들은 위험보다 손실을 더 싫어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댓글